미술사학과
학과소개
- 교과과목
-
미술사학의 이론을 검토하고 실습을 통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한국의 회화를 중심으로 관련사료와 함께 실질적인 작품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하는 것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우리나라 모든 조각분야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발전과정을 연구·논의하는 것선사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건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당시의 역사적 사료를 통한 검증과 제반문제들에 관련하여 분석하는 것주로 선사시대를 포함한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도자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으로 관련 사료와 문헌을 통해 검증·논의하는 것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한국의 전반적인 공예의 발달사와 당시 경제·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전시기에 비해 풍부한 사료와 문헌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 미술의 역사적 발전상과 서양과의 비교를 통한 시대별 정리와 연구를 모색하는 것중국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다양한 회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회화관련 논저를 중심으로 학설과 평가를 중점적으로 고찰하는 것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중국의 조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중국의 도자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관련 자료와 문헌을 통해 분석·연구하는 것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중국의 건축의 변천양식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한국의 건축과 비교를 통해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박물관과 미술관의 역할과 보관, 전시 교육을 이해·연구하는 것고대·중세·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건축물의 발달사를 문헌과 함께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우리나라 선사문화와 역사문화를 개괄적으로 이해하는 것고대 이후 근대까지 미학의 특징을 연구함으로써 미술의 미학적 관점의 이해를 돕는 것중국, 인도의 미술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일본의 중요 역사적 사실을 통해 일본미술사의 위치를 연구하는 것인도· 중앙아시아와 그 외에 분포된 각 나라별의 문화적 특성과 의의를 연구하고 근대까지 이들 나라의 시대별 특징의 흐름 및 그 동향을 연구 분석하는 것논문이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조건이나 양식 그리고 기존 연구의 검증을 통한 새로운 연구적 성과 취득을 위한 과정을 모색하는 것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걸친 시대의 흐름과 시기별 미술작품과 작가들, 각 시대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배경을 연구한다.고대 시기의 그리스와 로마시대의 미술을 각 시대별로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배경과 함께 연구한다.서양 초기 기독교, 비잔틴, 중세의 기독교 미술을 중심으로 기독교 미술의 역사적 의의와 문화적 배경에 따른 미술사적 측면의 사조를 고찰한다.20세기 미술에서 나타난 다양한 미술이론을 고찰하고 그 이론의 미술사적 배경과 함께 20세기 문화사와 사회사적 배경을 연구한다.근현대 아시아 미술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를 미술사적, 문화사적 맥락에서 점검하며 각 지역 미술의 특성을 살펴본다.뉴미디어 아트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과 함께 그 이론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연구한다.시각문화이론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과 함께 비평적 시각을 연구한다.한국 미술사에서 논의되는 제반 문제들과 전반적인 한국미술사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고 토의한다.서양 미술의 중심을 이루었던 고대의 그리스, 이집트, 헬레니즘 시대의 미술의 흐름부터 중세의 르네상스 및 각 사조의 흐름과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근대에 이르는 서양미술의 전개와 다양한 변모과정을 양식적 · 사조사적 측면에서 연구하고 토의한다한국 고대시기 미술의 중심을 이루었던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흐름과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조선시대 전반에 걸친 회화 미술에 관한 그 내용의 변천, 양식의 발전, 시기별 사조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영향과 함께 중국과의 관계를 연구하며 이에 시대별 문인들의 회화관이나 화론 등의 특징도 다룬다.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청자에서부터 고려시대에 걸친 전반적인 도자기의 흐름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비교 분석한다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백자에서부터 분청자에 이르는 조선시대를 걸친 전반의 도자기의 흐름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비교 분석한다서양 중세시기 기독교 시대에 대표적인 기독교 미술의 특징과 시대적 의의를 고찰하고 미술사적 측면에서 기독교 미술의 중요성을 분석한다.불교의 발상지인 인도부터 한국에 이르기까지 불교의 유입과 변천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특히 미술사적 불교조각의 도상 종류 및 의미, 양식의 특징 및 동서 교류의 변천과 함께 불교의 국제적 요소와 불교의 토착성 등을 문화적 수용과 발전의 관점에서 분석한다.19세기말에서 20세기에 이르는 한국의 근대회화의 흐름과 성격을 이해하고 그 시대적 특징에 따른 회화의 변천을 보다 깊이 있게 연구한다.동·서양의 고전과 현대 작가들의 연구 비교 분석하면서 그들의 작품과 생애, 사회적 배경 등에 관해 연구 고찰한다.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미술을 각 시대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배경과 함께 연구한다.20세기 미술에 나타난 다양한 미술이론을 고찰하고 그 이론의 미술사적 배경과 함께 20세기 문화사와 사회사적 배경을 연구한다.한국의 서예사를 개괄하고 동시에 한문 서예의 다양한 서체와 이론을 습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특히 형태적 변형이 심한 초서체의 독법을 다룬다.중국 회화사에 있어서 근대부터 다양한 회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회화관련 논저를 중심으로 학설과 평가를 중점적으로 고찰하는 것.한국도자사의 발생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양식별 변천과정과 각 시기별 유물의 특징을 연구 분석하는 것.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시작으로 서양 그대 미술의 대표적 사조인 사실주의, 인상주의, 신인상주의, 후기인상주의에 대한 연구20세기 서양미술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반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을 중심으로 연구
교과코드 교과목명(국문) 교과목명(영문) 학점 과목개요 1501 미술사 방법론 (Principle of Art History) 미술사학의 이론을 검토하고 실습을 통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 1701 한국회화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 Painting)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한국의 회화를 중심으로 관련사료와 함께 실질적인 작품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하는 것 1702 한국조각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 Sculpture)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우리나라 모든 조각분야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발전과정을 연구·논의하는 것 1703 한국건축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 Architecture) 선사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건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당시의 역사적 사료를 통한 검증과 제반문제들에 관련하여 분석하는 것 1704 한국도자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 Ceramics) 주로 선사시대를 포함한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도자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으로 관련 사료와 문헌을 통해 검증·논의하는 것 1705 한국공예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 Craft)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한국의 전반적인 공예의 발달사와 당시 경제·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 1706 한국 근·현대 미술사 연구 (Studi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이전시기에 비해 풍부한 사료와 문헌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 미술의 역사적 발전상과 서양과의 비교를 통한 시대별 정리와 연구를 모색하는 것 1707 중국회화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중국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다양한 회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회화관련 논저를 중심으로 학설과 평가를 중점적으로 고찰하는 것 1708 중국조각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Sculpture)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중국의 조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 1709 중국도자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Chinese Ceramics)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중국의 도자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관련 자료와 문헌을 통해 분석·연구하는 것 1710 중국건축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Chinese Architecture)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중국의 건축의 변천양식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한국의 건축과 비교를 통해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 1711 박물관학 특강 (Topics in Museology) 박물관과 미술관의 역할과 보관, 전시 교육을 이해·연구하는 것 1714 서양 건축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European Architecture) 고대·중세·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건축물의 발달사를 문헌과 함께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 1716 한국 고고학 연구 (Studies in Korean Archaeology) 우리나라 선사문화와 역사문화를 개괄적으로 이해하는 것 1717 미학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고대 이후 근대까지 미학의 특징을 연구함으로써 미술의 미학적 관점의 이해를 돕는 것 1719 동서미술 교섭사 (Studi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sia and Europe Art) 중국, 인도의 미술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 1720 일본미술사 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Japanese Art) 일본의 중요 역사적 사실을 통해 일본미술사의 위치를 연구하는 것 1721 인도·중앙아시아 미술연구 (Studies in India and Central Asain Art) 인도· 중앙아시아와 그 외에 분포된 각 나라별의 문화적 특성과 의의를 연구하고 근대까지 이들 나라의 시대별 특징의 흐름 및 그 동향을 연구 분석하는 것 1722 대학원논문연구 (Reading and Research) 논문이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조건이나 양식 그리고 기존 연구의 검증을 통한 새로운 연구적 성과 취득을 위한 과정을 모색하는 것 1724 르네상스와 바로크미술사 연구 (Studies in Renaissance and Baroque Art)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걸친 시대의 흐름과 시기별 미술작품과 작가들, 각 시대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배경을 연구한다. 1725 서양고전미술사 연구 (Studies in the Western Classical Antiquities) 고대 시기의 그리스와 로마시대의 미술을 각 시대별로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배경과 함께 연구한다. 1726 서양 중세미술사 연구 (Studies in the Medieval Art) 서양 초기 기독교, 비잔틴, 중세의 기독교 미술을 중심으로 기독교 미술의 역사적 의의와 문화적 배경에 따른 미술사적 측면의 사조를 고찰한다. 1727 20세기 미술이론 연구 (Studies in the 20th-century Art Theory) 20세기 미술에서 나타난 다양한 미술이론을 고찰하고 그 이론의 미술사적 배경과 함께 20세기 문화사와 사회사적 배경을 연구한다. 1728 근현대 아시아 미술사 연구 (Studi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Asian art) 근현대 아시아 미술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를 미술사적, 문화사적 맥락에서 점검하며 각 지역 미술의 특성을 살펴본다. 1729 뉴미디어 아트 이론과 비평론 (Theories of New Media Art and criticism) 뉴미디어 아트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과 함께 그 이론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연구한다. 1730 시각문화이론 연구 (Studies in Visual Culture Theories) 시각문화이론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과 함께 비평적 시각을 연구한다. 1731 한국미술사 세미나 (Seminar in the History of Korea Art) 한국 미술사에서 논의되는 제반 문제들과 전반적인 한국미술사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고 토의한다. 1732 서양미술사 세미나 (Seminar in the History of West Art) 서양 미술의 중심을 이루었던 고대의 그리스, 이집트, 헬레니즘 시대의 미술의 흐름부터 중세의 르네상스 및 각 사조의 흐름과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근대에 이르는 서양미술의 전개와 다양한 변모과정을 양식적 · 사조사적 측면에서 연구하고 토의한다 1733 한국 고대회화사 특강 (Studies in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Painting) 한국 고대시기 미술의 중심을 이루었던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흐름과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1734 조선시대 회화사 특강 (Studies in Cho-sun Dynasty Painting) 조선시대 전반에 걸친 회화 미술에 관한 그 내용의 변천, 양식의 발전, 시기별 사조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영향과 함께 중국과의 관계를 연구하며 이에 시대별 문인들의 회화관이나 화론 등의 특징도 다룬다. 1735 고려 도자사 특강 (Studies in the History of Goryeo Ceramics)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청자에서부터 고려시대에 걸친 전반적인 도자기의 흐름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비교 분석한다 1736 조선 도자사 특강 (Studies in the History of Cho-sun Ceramics)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백자에서부터 분청자에 이르는 조선시대를 걸친 전반의 도자기의 흐름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비교 분석한다 1737 기독교 미술 세미나 (Seminar in the History of Christian Art) 서양 중세시기 기독교 시대에 대표적인 기독교 미술의 특징과 시대적 의의를 고찰하고 미술사적 측면에서 기독교 미술의 중요성을 분석한다. 1738 불교미술 세미나 (Seminar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부터 한국에 이르기까지 불교의 유입과 변천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특히 미술사적 불교조각의 도상 종류 및 의미, 양식의 특징 및 동서 교류의 변천과 함께 불교의 국제적 요소와 불교의 토착성 등을 문화적 수용과 발전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1739 한국 근대회화 세미나 (Seminar in the Contemporary Art) 19세기말에서 20세기에 이르는 한국의 근대회화의 흐름과 성격을 이해하고 그 시대적 특징에 따른 회화의 변천을 보다 깊이 있게 연구한다. 1780 작가론 (Seminar in Artists) 동·서양의 고전과 현대 작가들의 연구 비교 분석하면서 그들의 작품과 생애, 사회적 배경 등에 관해 연구 고찰한다. 1781 서양고대미술사연구 (Studies in the Western Classical Antiquities)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미술을 각 시대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배경과 함께 연구한다. 1782 20세기미술사연구 (Studies in the 20th-century Art History) 20세기 미술에 나타난 다양한 미술이론을 고찰하고 그 이론의 미술사적 배경과 함께 20세기 문화사와 사회사적 배경을 연구한다. 1783 한국서예론 (Understanding Korean Calligraphy) 한국의 서예사를 개괄하고 동시에 한문 서예의 다양한 서체와 이론을 습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특히 형태적 변형이 심한 초서체의 독법을 다룬다. 1784 중국회화사연구Ⅱ (Studies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Ⅱ) 중국 회화사에 있어서 근대부터 다양한 회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회화관련 논저를 중심으로 학설과 평가를 중점적으로 고찰하는 것. 1785 한국도자사연습 (Seminar in Korean Ceramics) 한국도자사의 발생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양식별 변천과정과 각 시기별 유물의 특징을 연구 분석하는 것. 1786 19세기서양미술연구(Seminar in the 19th Century Western Art)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시작으로 서양 그대 미술의 대표적 사조인 사실주의, 인상주의, 신인상주의, 후기인상주의에 대한 연구 1787 20세기서양미술연구(Seminar in the 20th Century Western Art) 20세기 서양미술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반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을 중심으로 연구